뇌졸중 합병증 종류
1. 구축(contracture)
관절구축은 장기간 고정이나 무사용, 경직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움직임이 없는 관절의 지속적인 자세는 근육, 건, 인대의 단축과 구축을 일으킨다.
구축은 관절운동범위의 제한뿐만 아니라 통증을 유발하고 경직을 증가시켜 재활치료에 방해가 된다.
구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초기부터 마비측 팔다리에 대한 수동관절운동과 올바른 자세취하기, 자세변경이 필요하다.
2. 어깨통증(shoulder pain)
편마비측 어깨에 통증의 원인들로는 경직, 구축, 부딪힘 증후군(impingement), 어깨근육둘레띠(rotator cuff)손상, 관절낭염, 윤활낭염, 두갈래근 힘줄염 등이 있다. 어깨 통증은 심한운동장애, 감각장애, 편마비기간, 어꺠관절가동범위의 제한 등과 연관이 있다.
3. 어깨의 부분탈구(subluxaion of shoulder)
어깨의 부분탈구는 어깨근육의 근 긴장도의 변화, 어깨관절의 안정성 변화와 어깨뼈의 위치 변화에 의해 발생하며, 아래쪽, 앞쪽, 위쪽 부분탈구로 나뉜다. 아래 부분탈구는 주로 어깨뼈와 몸통의 나쁜 정렬로 인해 발생한다.
뇌졸중 후 어깨뼈는 하방회전되고 어깨관절의 부분탈구가 생긴다. 어깨의 부분탈구는 어깨통증을 동반하거나 또는 통증없이 발생할 수 있다.
4. 손의 부종(edema of hand)
손의 부종은 편마비 환자의 빈번한 합병증이다. 장기간 손 부종은 수동움직임의 제한, 통증, 연조직 구축을 발생시킬 수 있다.
5. 욕창(decubitus ulcer)
뇌졸중 환자의 21%에서 욕창이 생긴다. 욕창은 심한 마비나 근육경직, 감각장애, 혼수상태, 영양부족, 비만, 실금이 있는 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하며, 자세변화가 부적절한 경우에도 발생한다. 욕창이 잘 일어나는 부위는 뼈가 돌출된 부위로서 엉치부위, 궁둥뼈결절, 큰돌기부위, 어깨뼈 가시부위 등이다. 증상은 발적, 수토, 피부색의 변화, 괴사 등이다.
욕창의 예방을 위해 피부를 잘 관찰하고, 특히 감각이 없는 부위들은 매일 검사하고 적어도 2시간 마다 환자의 체위를 변경하며 압박을 감소시키고 청결과 건조 등의 위생 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6. 소, 대변 장애
급성기 동안에 소, 대변 장애가 주로 나타난다. 요실금은 운동결손, 의사소통장애, 정신장애와 관련이 높으며 뇌졸중 직후 환자의 혼돈 상태에서 흔히 발생한다. 요실금으로 인해 피부손상의 위험이 증가되고, 사회 및 지역사회 참여가 감소 될 수 있다. 또한 변비와 변실금이 발생하기도 하며 적당한 수분섭취, 좌약, 약물을 포함한 배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7. 성기능 장애
성에 대한 뇌졸중의 영향으로 성적충동의 감소, 성 활동의 빈도 감소, 남성의 경우 발기기능장애, 여성의 경우 질의 분비액의 감소가 나타난다. 원인은 생리학적(운동, 감각, 인지 기능의 감소, 일상생활활동의 의존정, 지구력감소, 실금, 약물부작용)이거나 심리사회적(우울증, 의사소통능력 손상, 무긹의 두려움, 뇌졸중 재발의 두려움)일 수 있다.
8. 반사교감신경이상증(reflex sympathetic dystrophy, RSD)
뇌졸중 후 2~4개월 사이에 발생하며, 어깨관절과 손 부위에 관절가동범위의 제한과 교감신경계의 항진에 의한 혈류공급 이상을 나타낸다. 뇌졸중 환자의 12~25%에서 발생하며 어깨통증과 함께 손과 손가락의 부종과 압통이 발생한다. 특히 어깨관절의 움직임시 통증이 발생한다.
9. 골다공증(osteoporosis)
중증 뇌졸중 환자는 장시간 침상생활을 하기 때문에 골다공증이 발생하기 쉽다. 골다공증은 병적인 골절로 진행될 수 있으며 조기에 체중부하를 유도함으로서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다.
10. 이소성골화증(딴곳뼈되기, heteropic ossification)
이소성골화증은 근육이나 연조직에 칼슘이 침착되어 관절 주위에서 석회화되어 병리적으로 골 형성되는 병이다. 주로 대퇴골, 어깨, 무릎, 팔꿈치와 같은 장골 부위에서 많이 발생한다.
침상과 휠체어에서 올바른 자세취하기와 매일의 관절가동운동은 이소성골화증을 예방할 수 있다.
11. 정맥 혈전색전증(thromboembolism)
다리의 무활동과 장기간의 침상안정은 종종 마비측 다리 정맥의 혈전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핏덩이가 떨어져 나가 색전을 형성하고 이동하여 폐순환을 폐색할 수 있기 떄문에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심부정맥혈전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탄력스타킹 착용, 항응고제를 투여할 수 있다.
12.감염(infection)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의 변화, 흡인(aspiraion), 호흡저하, 무활동은 자주 폐렴을 이끌고 방광기능의 변화는 방광팽창과 요로감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감각의 장애와 부적절한 자세변화는 욕창을 이끌며 감염을 가져올 수 있다.
13. 간질(seizure)
간질은 뇌졸중 환자의 10%정도 나타나며 혈전 경색보다는 색전 경색에서 더욱 일반적이다.
'뇌졸중과 작업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종류와 원인 (1) | 2025.02.17 |
---|---|
삼킴의 생리학적 이해 (0) | 2025.01.21 |
뇌졸중 발생 시 좌뇌 손상과 우뇌 손상의 차이 (0) | 2025.01.17 |
외상성 뇌손상의 주요 증상 (0) | 2025.01.17 |
치매(Dementia)란?, 치매종류 (0) | 2025.01.17 |